본문 바로가기
개요

사주를 생활화 하는 방법 - 1 (월을 인지하기)

by 황금신(長金神) 2024. 1. 6.

 

사주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주가 우리 생활을 위해 만들어졌었단 걸

이해하고 평소에도 사주를 생활화해야 한다.

 

그 중에서도 가장 쉽고 효과적인 월 이야기를 해보겠다.

사주에선 일 년을 12월이 아닌 24절기

한 달을 2개의 절기로 나누어 시간과 계절을 정의한다.

 

 

----------- ----------- ----------- ----------- ----------- ----------- -----------

2월 - 입춘(인월) +우수

3월 - 경칩(묘월) +춘분

4월 - 청명(진월) +곡우

 

5월 - 입하(사월) +소만

6월 - 망종(오월) +하지

7월 - 소서(미월) +대서

 

8월 - 입추(신월) +처서

9월 - 백로(유월) +추분

10월 - 한로(술월) +상강

 

11월 - 입동(해월) +입동

12월 - 대설(자월) +동지

1월 - 소한(축월) +대한

----------- ----------- ----------- ----------- ----------- ----------- -----------

 

 

(낮이 가장 길 때를 하지. 낮이 가장 짧을 때를 동지라고 한다.

하지에서 동지는 밤이 길어지면서 음의 기운이 강해지고

동지에서 하지는 낮이 길어지면서 양의 기운이 강해진다.)

그리고 하나의 달마다 지장간의 기간이 달라 태어난 날의 기간에 따라 사령이 결정된다.

 

 

----------- ----------- ----------- ----------- ----------- ----------- -----------

2월 - 인월 (무 -7, 병 - 7, 갑 - 16) 

3월 - 묘월 (갑 - 10, 을 - 20)

4월 - 진월 (을 - 9, 계 - 3, 무 - 18)

 

5월 - 사월 (무 - 7, 경 - 7, 병 - 16)

6월 - 오월 (병 -10, 기- 10, 정 - 11)

7월 - 미월 (정 - 9, 을 - 3, 기 -18)

 

8월 - 신월 (무 -7, 임 - 7, 경 - 16)

9월 - 유월 (경 - 10 , 신 - 20)

10월 - 술월 (신 - 9, 정 - 3, 기 - 18)

 

11월 - 해월 (무 - 7, 신 - 8, 임 - 16)

12월 - 자월 (임 - 10, 계 - 20)

1월 - 축월 (계 - 9, 신 - 3, 기 -18)

----------- ----------- ----------- ----------- ----------- ----------- -----------

 

 

즉, 입춘에서부터 + 7~14일 태어났으면 병화의 기운을 얻고,

+ 15 ~ 31에 태어났으면 본기인 갑목의 기운을 받는다.

 

그래서 사주를 배우고 깊게 이해하고자 하는 사람이라면

2월을 2월이라 부르지 말고 입춘과 우수까지를 인월이라고 부르고

대설과 동지는 자월이라 부르는 것부터 습관화해야 한다.

그렇게 일상의 가장 밀접한 시간을 사주의 양식으로 생활화하면

삶에서 느끼는 시간과 계절의 변화를

이론적으로 알고 있는 천간 지지의 오행과 연결해서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훨씬 더 빠르게 본질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천간 지지의 60일주는 월의 경우 5년마다 반복이 되는데

같은 인월이더라도 갑인월이 다르고 병인월이 다르다.

이런 차이를 이해하고 해당월에 일어나는 작용을 느껴야지만

대운과 년운에서의 갑인과 병인도 이해하고 원국에서의 갑인과 병인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개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주의 역사  (0) 2024.01.10
점학의 종류  (0) 2024.01.04
운명학의 종류  (0) 2024.01.04